본문 바로가기
주식

녹십자엠에스 주가 전망 및 배당금 분석|진단시약·혈액투석 테마 이슈 집중 점검 (2025.05.26)

by 어색한미소 2025. 5. 26.
반응형

녹십자엠에스(142280)는 최근 진단시약, 혈액투석액, 감염병 테마주로 투자자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본 분석에서는 최신 실적, 수급, 산업 이슈, 배당 전망, 재무 건전성, 동종업계 비교, 리스크 요인 등 다각도로 종합 분석합니다.

녹십자엠에스 주가 전망, 배당금 분석, 진단시약·혈액투석 테마 이슈
녹십자엠에스


📰 최근 뉴스 & 핵심 이슈 요약

날짜 제목 요약
2025-05-14 임원 상여 목적 자사주 35,000주 처분 결정 임원 보상으로 1.36억 원 규모 자사주 처분, 주주가치 제고 및 유동성 확대 기대
2025-04-30 2025년 1분기 실적 발표 매출 265억(+12%), 영업이익 5억(+543%), 순손실 7억(적자전환), 영업이익률 1.9%로 개선
2025-02-24 10년 만에 배당 재개 기대 자본항목 조정 등 배당 재개 추진, 주주환원 정책 강화 가능성
2025-01-31 혈액투석액 장기공급 계약·성장세 지속 박스터와 2028년까지 장기공급 계약, 혈액투석액 시장 내 점유율 50% 확보, 파우더형 신제품 개발 중
  • 핵심 이슈: 진단시약·혈액투석액 부문 성장, 엠폭스(원숭이두창)·감염병 테마, 배당 재개 기대, 자사주 처분 등 주주환원 정책
  • 관련 테마: 진단시약, 감염병, 혈액투석, 바이오/의료기기, 배당주

이러한 이슈들은 녹십자엠에스의 실적 및 주가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으며, 특히 진단시약·혈액투석액 시장의 성장성과 배당 재개 가능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종목 뉴스 확인하기

💰 현재 주가 정보 (실시간 연동)

  • 현재가: 4,670원 (전일대비 +460원, +10.93%)
  • 시가총액: 약 827억 원
  • PER/PBR/ROE: 23.3 / 2.06 / 9.5%
  • 52주 최고/최저: 5,170원 / 3,480원
  • 거래량(20일 평균): 약 450,000주
  • ※ 데이터는 2025년 5월 26일 13:47 기준 실시간 반영

📈 수급 동향 분석

구분 1일 1주 1개월 3개월
기관 -340 +1,600 +7,200 +7,200
외국인 +34,569 +97,855 +97,855 +97,855
개인 -34,229 -105,055 -105,055 -105,055
  • 최근 특징: 외국인 투자자의 강한 순매수세가 이어지고 있으며, 기관도 최근 들어 매수 전환. 개인은 지속적으로 차익 실현 매도 우위.
  • 거래량 변화: 실적 발표 및 테마 이슈에 따라 거래량이 평소 대비 2~3배 이상 증가하는 등 유동성 확대가 뚜렷함.
현재 주가 확인하기

녹십자엠에스 현재 주가 차트
녹십자엠에스 현재 주가 차트


📊 동종업계/섹터 비교

종목명 시가총액(억) PER PBR ROE 2025E 매출성장률 2025E 영업이익률
녹십자엠에스 827 23.3 2.06 9.5% 10% 2.2%
진시스템 713 N/A 2.58 -25% -75% -1,057%
클리노믹스 213 N/A 0.45 -92% -51% -303%
엑세스바이오 1,886 N/A 0.27 -0.06% -68% -3.8%
  • 섹터 내 위치: 진단시약·혈액투석 관련주 중 실적·수익성 모두 상위권.
  • 차별화 포인트: 국내 최대 혈액투석액 생산설비, 진단시약 포트폴리오 다각화, 글로벌 공급계약 등 안정적 성장 기반.

💸 2025년 배당 정보

  • 2024년 배당금: 없음 (10년간 무배당)
  • 2025년 예상 배당금: 배당 재개 가능성 높음 (구체적 금액 미정)
  • 배당성향: 미정 (자본항목 조정 등 배당 재원 마련 중)
  • 배당 성장률: 2025년 첫 배당 시 0→양(+) 전환
  • 배당 히스토리: 2015년 이후 무배당, 2025년 배당 재개 가능성 공식 언급

⚡ 상승 요인과 리스크 분석

▶️ 상승 모멘텀

  • 혈액투석액 부문 성장세 지속, 국내 시장 점유율 50% 및 박스터와 장기공급계약 체결
  • 진단시약(감염병, 분자진단, 면역진단 등) 포트폴리오 확장 및 신제품 출시
  • 배당 재개 기대감, 주주환원 정책 강화 및 외국인·기관 수급 개선

⚠️ 주요 리스크 및 시나리오 분석

리스크 요인 발생 시나리오 주가/실적 영향
의료기기 규제 강화 인증 기준 강화로 신제품 출시 지연 매출 성장 둔화, 투자심리 위축
글로벌 경쟁 심화 해외 경쟁사 시장 진입, 가격경쟁 격화 마진율 하락, 점유율 감소 우려
환율 변동성 원/달러 환율 급변, 수출 경쟁력 약화 수출채널 이익 감소 가능성
  • 리스크 관리 방안: R&D 투자 확대, 원가구조 개선, 신제품 파이프라인 강화, 장기공급계약 등 안정적 매출원 확보

🧾 재무 지표 요약

연도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 ROE 부채비율
2023 1,039억 23억 34억 9.5% 102%
2024E 1,100억 28억 38억 10% 100%
2025E 1,200억 35억 45억 11% 98%
  • 매출/영업이익/순이익 추이: 20232025년 연평균 매출 810% 성장, 영업이익률 2%대 회복 전망
  • ROE/부채비율/현금흐름: ROE 개선, 부채비율 100% 내외로 안정적

📊 실적 요약

  • 최근 분기 실적(2025년 1분기)
    • 매출: 265억 원 (YoY +12%)
    • 영업이익: 5억 원 (YoY +543%)
    • 순이익: -7억 원 (적자전환, 일회성 비용 영향)
  • 컨센서스 대비: 매출·영업이익 모두 시장 기대치 부합, 순이익은 적자전환(일회성 비용 반영)
  • 서프라이즈/쇼크 여부: 영업이익률 대폭 개선(서프라이즈), 순이익 적자(쇼크)
재무 지표 확인하기

녹십자엠에스 재무 지표
녹십자엠에스 재무 지표


✅ 투자 포인트 요약

  • 국내 혈액투석액 시장 점유율 50%, 박스터와 장기공급계약으로 안정적 매출원 확보
  • 진단시약(감염병, 엠폭스, 분자진단 등) 포트폴리오 다각화 및 신제품 출시
  • 배당 재개 기대감 및 주주환원 정책 강화
  • 외국인·기관 수급 개선, 실적 성장세 지속
  • 차별화 요인: 국내 최대 혈액투석액 생산설비, 글로벌 시장 진출 추진, 파우더형 신제품 개발

📝 결론 및 전략 제안

  • 종합 전망: 녹십자엠에스는 진단시약·혈액투석액 시장의 구조적 성장과 배당 재개 기대, 안정적 수급 개선 등으로 중장기 투자 매력이 높아진 상황입니다. 단기적으로는 실적 개선과 테마 모멘텀(감염병, 엠폭스 등)이 주가를 견인할 전망이며, 중장기적으로는 혈액투석 신제품 출시와 글로벌 진출이 성장 동력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 추천 전략: 단기적으로 4,500원 이하 분할 매수, 4,000원 이탈 시 손절, 목표가 5,500원 제시. 장기적으로는 3년 이상 보유 시 배당 및 복리효과, 양도세 감면 등 포트폴리오 전략 활용 추천.

유의사항:

※ 본 콘텐츠는 투자 참고용이며, 실제 투자 판단과 결과는 투자자 본인의 책임입니다.

녹십자엠에스 기업 제품녹십자엠에스 기업 제품
녹십자엠에스 기업 제품
녹십자엠에스

반응형

TOP

Designed by 티스토리